(2011년11월25일)전남 해남 삼산 [두륜산 대흥사]
△ 대흥사 경내
천년고찰인 대흥사는 이제 더 이상 고찰다운 고즈넉함이 사라진지 오래다
산중턱까지 확장하는 대흥사는 각종 중장비 소음므로 가득하고
새로이 신축되는 절간은 더이상 절간으로 보여지지 않고 하나의 기업으로 보여지는 건 나만의 생각일까...!
△ 대흥사
대흥사(大興寺)는 우리 국토의 최남단에 위치한 두륜산(頭崙山)의
빼어난 절경을 배경으로 자리한 사찰로서, 대한불교 조계종 22교구의 본사이다.
현재 해남, 목포, 영암, 무안, 신안, 진도, 완도, 강진, 광주 등 9개 시군의 말사를 관할하며,
서·남해 지역 사찰을 주도하고 있다. 두륜산을 대둔산(大芚山)이라 부르기도 했기 때문에
원래 사찰명은 대둔사(大芚寺)였으나, 근대 초기에 대흥사로 명칭을 바꾸었다.
일찍이 서산대사가 “전쟁을 비롯한 삼재가 미치지 못할 곳(三災不入之處)으로
만년동안 훼손되지 않는 땅(萬年不毁之地)”이라 하여 그의 의발(衣鉢)을 이곳에 보관한 도량이다
이후 대흥사는 한국불교의 종통이 이어지는 곳(宗統所歸之處)으로
한국불교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도량으로 변모하였다.
즉 풍담(風潭) 스님으로부터 초의(草衣) 스님에 이르기까지 13분의 대종사(大宗師)가 배출되었으며,
만화(萬化) 스님으로부터 범해(梵海) 스님에 이르기까지 13분의 대강사(大講師)가
이곳에서 배출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13 대종사 가운데 한 분인 초의선사로 인해
대흥사는 우리나라 차문화(茶文化)의 성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넓은 산간분지에 위치한 대흥사는 크게 남원과 북원그리고 별원의(표충사,대광명전,박물관)
3구역으로 나뉘어져 건물들이 자리하고 있다.
북원에는 대웅보전을 중심으로 명부전, 응진전, 산신각, 침계루, 백설당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남원에는 천불전을 중심으로 용화당, 봉향각, 가허루 등이 자리하고 있다.
그리고 남원 뒤쪽으로 멀리 떨어져서 사명대사의 사당인 표충사 구역과 대광명전 구역이 있다.
[대흥사 홈피에서...펌]
△ 대흥사
△ 대흥사
이 건물은 조선 현종 8년(1667) 심수대사(心粹大師)가 중건하였다 하나 그 후에도 중수가 있었던 듯하다
전면에 장대석으로 높이 쌓은 단위에 기단을 마련하고 전면 5칸 측면 4칸의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을 지었는데 귀기둥을 제외한
전면 기둥 상부에는 용두를 새기고 쇠서에도 연꽃을 새겨 조선후기적 특징을 보였다.
건물 전면에는 각 칸마다 빗살무늬의 이분합문을 달았으며 가운데 현판은 조선후기의 명필인 원교 이광사 선생의 글씨이다.
건물안에는 목조삼존불을 봉안하고 있다
△ 대흥사
△ 대흥사
△ 대흥사
△ 윤장대(輪藏臺)
윤장대는 절에서 경전을 놓은 공간에 축을 달아 회전하도록 만든 책장이다
△ 대흥사
△ 대흥사
△ 대흥사 연리근(연리지)
거송이 두개지만 뿌리는 하나...!
△초의선사
초의스님은 19세기에 우리나라 다도를 중흥시킨 분이라 한다
대둔사와 그 부속암자인 일지암에 머물면서 한국차의 고전으로 일컬어지는 "동다송"을 편찬하여
우리 차문화의 역사와 우수성을 복원한 분이라 한다
△ 대흥사
△ 대흥사
대흥사를 나서며...!
--- e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