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³ 산행후기 ³°″/다녀온山寺

('16.11.15)강원 고성 북설악『금강산 화암사』





설악 금강산 화암사는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신평리에  성인대(선인대봉) 아래 위치하여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이다. 769년(혜공왕 5)진표()가 창건하여 이름을 금강산 화엄사()라고 하였다.

사적기에 의하면, 당시 금강산으로 들어온 진표는 금강산의 동쪽에 발연사()를, 서쪽에 장안사()를, 남쪽에 이 절을 각각 창건했는데, 화엄사라고 한 까닭은 이곳에서 《화엄경》을 강하여 많은 중생을 제도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당시 《화엄경》을 배운 제자 100명 가운데 31명은 어느 날 하늘로 올라갔으며, 나머지 69인은 무상대도()를 깨달았다고 한다. 또 진표는 이 곳에서 지장보살을 친견하고 그 자리에 지장암()을 창건하여 이 절의 부속 암자로 삼았다고 한다.

그 뒤 941년(태조 24)월영암()을 창건했으며, 1401년(태종 1)지장암을 동쪽으로 옮기고 미타암()으로 이름을 바꿨다. 1623년(인조 1) 불에 타자 1625년 중건하였다.

1628년에는 광명()이 지장보살상을 조성했으며, 안양암()을 창건하였다. 그러나 1635년 산불이 일어나 다시 불탔다. 이에 동쪽 20리 지점으로 임시 이전했다가 1644년(인조 22)에야 옛터에 중건하였다.

1662년(현종 3)에도 화재가 있어 중건하였고, 1716년(숙종 42)에는 산적들이 불태워 버렸다. 이듬해 승려들은 동쪽으로 10리 가량 떨어진 무릉도()에 초옥을 짓고 거주하다가, 1721년(경종 1) 옛 절터로 돌아와 중건하였으며, 해성()은 안양암을 중수하였다.

1760년(영조 36) 대웅전과 향각(), 승당이 불 타자 승려들이 협력하여 이듬해 승당을 세웠고, 1762년에 대웅전과 향각을 중건하였다.

1794년(정조 18)에는 화성 도한( )이 약사전에서 나라를 위한 기도를 주야 21일 동안 올렸는데, 기도가 끝나자 방광()이 뻗쳐 그 빛이 궁궐의 뜰에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이에 정조는 제조상궁(調) 최()씨를 이 절에 파견하여 도한을 궁궐로 데려 오도록 하여 경위를 듣고 크게 감격하여 이 절을 가순궁()의 원당으로 삼았으며, 요사채 2동을 지어 주었다.

그리고 1796년에는 미타암의 화응전(殿)을 정조의 원당으로 정하여 관음보살상과 정조의 친필 병풍 6폭, 연()을 하사하고, 절의 사방금표()를 정해 주었다. 이로써 이 절은 창건 이래 가장 큰 사역()을 형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1860년(철종 11) 산불로 암자까지 모조리 소실했으며, 춘담()이 중심이 되어 중건에 착수하였다. 전국 여러 곳을 다니며 시주를 모으고 왕실의 도움을 받아 화엄사와 안양암을 중건했으며, 수봉()은 탱화를 조성했다.

1864년(고종 1) 다시 산불로 소실하자 불타지 않은 승당에 임시 법당을 마련하고 지내다가 이 해 지장탱화와 신중탱화, 현왕탱화를 조성 봉안하였다.

그리고 화재를 면하고자 풍수지리에 입각해서 남쪽의 화기를 지닌 수암()과 북쪽의 코끼리바위의 맥이 상충하는 자리를 피하여 100m 아래에 절을 짓기로 하였다.

1872년수봉이 새 터에 법당과 영각(), 누각, 요사채를 중건했으며, 1882년(고종 19)자허()와 선월()이 철원 장구사()에서 아미타여래좌상과 약사여래좌상을 모셔와 봉안하였다.

1893년 폭우로 인한 산사태로 안양암이 붕괴되었고, 1894년축성()이 중수했으며, 1909년영운()이 안양암에 칠성각을 건립하였다.

1912년에는 사찰령()에 따라 전국 31본산 중 건봉사()의 말사가 된 뒤부터 화암사라는 이름을 공식 명칭으로 사용했다. 1915년 9월 다시 불타서 1917년 중건하였다. 그러나 1950년 6.25 때 크게 파손되어 건물 1동만 남게 되었다.

1953년 휴전 뒤에 건봉사 극락암에 있던 한 비구니가 정착하여 머물렀다. 1986년에는 주지로 부임한 양설()이 중창하여 다시 큰 절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건물로는 대웅전과 명부전, 삼성각, 인법당(), 금강루(), 일주문, 미타암(), 요사채 등이 있다. 특별한 문화재는 없다.

수암에 얽힌 설화가 전한다. 수암에는 구멍이 하나 있었는데, 끼니 때마다 그 구멍에 지팡이를 넣고 세 번 흔들면 2인분의 쌀이 나왔다고 한다.

그러기를 몇 년이 지난 어느 날 욕심 많은 한 객승이 이를 보고 ‘3번 흔들어 2인분의 쌀이 나오면, 300번 흔들면 200인분의 쌀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고 지팡이를 마구 흔들었다. 그러나 구멍에서는 피가 나왔고, 이후 쌀도 전혀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화암사 [禾巖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수바위


















































▒ ▒ ▒ ▒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