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사에서 바라 본 기암봉
♧ 주왕산 소개 ♧
주왕산(720.6m)은 우리나라 중앙부에 해당하는 태백산맥의 지맥에 위치하고
경북의 청송군과 영덕군 지역에 걸쳐져 있으며
1976년 3월 30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 되었고 지정 면적은 총 107.425㎢에 달한다.
이 지역의 북서부에 태행산(933.1m), 대둔산(905m)이 솟아 있고
중앙부에 주봉격인 두수람(927.2m)등 평정봉이 주측을 이루고 있다.
주능선과 금은광이 부근은 급경사의 지형으로서 외주왕 계곡은 기암이 용립해서
절경을 이루어 이곳 경관의 특색처럼 되어 있다.
이곳에는 뛰어난 자연경관 요소가 많은데 청학과 백학이 살았다는 학소대,
앞으로 넘어질 듯 솟아오른 급수대, 주왕과 마장군이 격전을 가졌던 기암,
주왕의 아들과 딸이 달구경을 하였다는 망월대, 멀리 동해가 보이는 험준한 지형의
왕거암, 주왕이 숨었다가 숨진 전설의 주왕굴, 그리고 폭포, 약수 등 탐방객을 매료 시키는 곳이 많이 있다
♧ 청송 주왕산 국립공원 ♧
☞산행장소:경북 청송 부동 상의리
☞산행코스: 대전사→주왕산정상→칼등고개→후리매기→제2폭포→제1폭포→
학소대,급수대,망월대→대전사→주산지 이동
☞산행시간:[ 시간 분]
☞산행일자:2007년04월29일
☞날씨:맑음
☞산행인원:조릿대 외 24명
☞차량운행:소형버스 이용
△ 대전사 왕벗꽃과 기암
......
[산행 요약]
△ 주왕산 탐방 안내소에서 출발 전 단체
주말 산행이지만 많은 회원님들이 참석하였다
△ 주왕산 정상을 오르며...건너편 장군봉에서 금은광이 능선과 절벽 단애
△ 주왕산 큰골은 언제 보아도 신비스럽기만 하다
△ 금은광이봉과 큰골의 절벽 단애
△ 한 바탕 치고 오른 주왕산 정상
01
02
△ 칼등고개에서...급경사 길을 내려와 사창골의 계류를 만난다
△ 사창골을 거슬러 내려 오는 일행
△ 사창골에서 주계곡 큰골을 만난다
△ 큰골 거슬러 내려 오며
△ 큰골 풍경
△ 제2폭포 가는 길
△ 제 2폭포
수량이 풍부하지 못해 아쉽지만
△ 주왕산 큰골의 비경
△ 주왕산 큰골이 비경
△ 주왕산 큰골의 제1폭포
△ 큰골 비경
학소대 부근 단애
△ 시루봉
시루봉은 그 생김새가 떡을 찌는 시루와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측면에서 바라보면 마치 사람의 옆 모습처럼 보이기도 한다.
시루봉에는 옛날 어느 겨울에 한 도사가 이 바위 위에서 도를 닦고 있을 때
신선이 와서 불을 지펴 주었다는 전설이 전해 오고 있으며, 바위 밑에서 불을 피우면
그 연기가 바위 전체를 감싸면서 봉우리 위로 치솟는다고 한다
01
△ 자하교에서...수많은 유산객들이 있다
△ 시루봉
아래에서 바라 본 시루봉
또 다른 형상의 시루봉 모습이다
마치 험상 굿은 야수의 얼굴 모양 같다
△ 급수대
△ 급수대 (汲水臺)
급수대(汲水臺)는 신라 37대 왕인 선덕왕(善德王)이 후손이 없어
무열왕(29대 왕)의 6대 손(孫)인 김주원(金周元)을 38대 왕으로 추대하였으나,
때마침 그가 왕도(王道)인 경주에서 200리나 떨어진 곳에 있었고,
홍수로 알천(閼川)이 범람하여 건너올 수 없게 되자,
대신들이 이는 하늘의 뜻이라 하여 상대등(上大等) 김경신(金敬信)을 왕으로 추대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김주원은 왕위를 양보하고 이곳 주왕산으로 피신하여 대궐을 건립하였는데,
당시 산위에는 샘이 없었으므로 계곡의 물을 퍼올려 식수로 사용하였답니다.
그 후로 이곳을 급수대라 이름하게 되었습니다
△ 대전사
♧ 대전사 소개 ♧
대전사의 건물은 신라 문무왕(文武王) 12년(672)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처음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임진왜란때 불타 조선 현종(顯宗) 13년(1672)에 새로 지어 현재 사찰의 중심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1976년에 보광전을 고칠 때 1662년의 상량문(上樑文)이 발견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자그마한 건물로 천장은 '井'자 모양으로 꾸몄으며, 내부에 비로자나불(毘盧子那佛)을 모시고 있다. 사찰이름은 주왕산에 머물렀던 주왕의 아들 대전도군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또한 주완산 등산로 초입에 자리하고 있어 주말이면 등산객들로 항상 붐비는 사찰이기도 하다. 대전사에는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장수였던 이여송이 사명대사에게 보낸 친필 서신이 보관되어 있는데, 서신 그대로가 아닌 서신을 음각한 목판이 보관되고 있다
|
△ 대전사에서 기암을 올려다 보았다
01
대전사에서 주차장까지 하산을 완료하여
다음 목적지인 주산지로 향한다
최근 영화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으 사계절의 주산지 풍경이
유명세를 타며 많은 탐방객들이 찾아 오는 추세다
△ 봄 주산지 풍경
△ 족적
[end]
'″°³ 산행후기 ³°″ > 국 내 전 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0408-42) 대구 팔공산 종주...관봉-동봉-서봉-파계사 (0) | 2011.11.03 |
---|---|
<<<청송...주산지의 봄>>> (0) | 2011.11.03 |
(070512-40)경남 합천...황매산(모산재-철쭉제단-황매산) 우중산행과 황홀한 운해 (0) | 2011.11.03 |
(070616-38)경북 봉화 청량산 [김생굴-총명샘-탁필봉-자소봉-의상봉] (0) | 2011.11.03 |
(070630-37)경북 포항 영덕...동대산 [마실골-동대산-물침이골-경방골] (0) | 2011.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