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³ 산행후기 ³°″/다녀온山寺

('15.10.25 일) 전남 구례 지리산『연곡사』

 

 

 

 

♧ 연곡사 대적광전 ♧

 

 

연곡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의 말사이다. 통일신라시대에 연기조사()가 창건하였으며,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까지는 수선도량()으로 이름이 높았던 사찰이었다. 그 뒤 임진왜란 때에 왜병에 의하여 전소된 뒤 태능(, 1562∼1649)이 중창하였다. 1745년(영조 21)에는 연곡사가 밤나무로 만드는 왕실의 신주목()을 봉납하는 곳으로 선정되었다.

1907년 의병장 고광순()이 당시 광양만에 주둔하고 있는 일본 정규군을 격퇴하기 위하여 의병을 일으켜 연곡사로 집결시켰다. 이때 그 정보를 입수한 일본군에 의하여 고광순과 의병들은 모두 순절하였고, 절은 왜병들에 의하여 방화를 당하였다.

그 뒤 1942년에 다시 중건을 하였으나 6·25전쟁 때 피아골 전투로 다시 폐사가 된 뒤로 사찰분규와 교통사정 때문에 재흥을 보지 못하다가 1965년에는 소규모의 대웅전이 요사채를 겸하여 세워졌고, 1981년에 1억30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새 대웅전을 준공하였다. 이어서 1983년에 대적광전과 관음전을 지었으며, 1994년에 요사를 증축하였다. 1995년에는 일주문을 세웠고, 1996년에는 종각과 수각을 지어 오늘에 이른다.

[네이버 지식백과] 연곡사 [鷰谷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일주문

 

 

 

 

 

 

 

 

 

 

 

 

 

 

 

 

 

 

 

 

 

 

 

 

↑ 마침 연곡사는 국화전히회 중

 

 

 

 

 

 

 

 

 

 

 

 

 

 

 

 

 

 

 

 

 

 

 

 

 

 

 

 

 

 

 

 

 

 

 

 

 

 

 

 

 

 

 

 

 

 

 

 

 

 

 

 

 

 

 

 

 

 

 

 

 

▒ ▒ ▒ ▒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