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³ 산행후기 ³°″/다녀온山寺

팔공산 송림사_오층 전탑이 온전한 송림사 '21.2.27

2021.2.27(토)

 

주말, 삼일절과 함께 연휴가 시작되는 첫날 칠곡에서

 

연휴 첫날 전탑이 유명한 유서깊은 송림사를 둘러 보았습니다.

 

 

 

 

 

 

송림사 대웅전 현판이 유독 시선 가는데, 숙종의 어필이라 한다.

 

대웅전 앞 저 고목 벗꽃나무는 수령 얼마나 되었을지...

아직도 꽃 피는 봄이면 벗꽃이 왕성히 꽃을 피운다고 합니다.

 

더해 보물중의 보물, 우리나라에 5개뿐인 전탑이 아주 유명하며 

1959년 전탑 복원 해체시, 전탑에서 귀중한 여러 보물이 나왔다고 합니다.

 

 

 

 

 

송림사 5층 전탑_보물 제189호

 

통일신라시대의 이탑은 높이 16.1m 기단폭 7.3m로 금동상륜부가 온전히 보전되어 있다.

이 전탑은 우리나라 전체 5개의 전탑 가운데 가장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 전탑에서 발굴된 보물

사리함

금동전각형 사리기

금동제수형장식구와 구슬목걸이

유리잔과 사리병

사리구

복발

석조거북 사리함

 

 

▶ 송림사 목조석가삼존불좌상_보물 제1605호/ 1606호

대웅전 본존 석가모니불

좌협시 지혜의 문수보살

우현시 질천의 보현보살

삼천불전 본존 아미타여래

삼천불전 지장보살

삼천불전 관음보살

 

 

 

 

 

 

 

송림사 5층 전탑_보물 제189호

 

너무 정교하여 최근에 조성된 탑인듯 보여지나, 우리나라 전탑 중 최고라고 합니다.

 

 

 

 

 

송림사 5층 전탑과 대웅전

 

팔공산순환도로에 위치한 전통사찰 송림사는 544년(신라 진흥왕5) 진나라에서 귀국한 명관이 중국에서 가져온 불사리를 봉안하게 위래 창건한 사찰이라고 한다.

7개의 봉이 7개의 골을 이루어 칠곡(七谷)이라 한 것이 오늘의 칠곡(漆谷)이 되었으며, 1640년(인조 18년)에 이곳에 가산산성을 쌓고 칠곡도호부의 치소가 약 180년간 산성 내에 있었다고 한다. 송림사가 있는 마을를 송림이라 하는데, 송림사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300여년 전 남평문씨가 정착했다고 전한다.

 

 

 

 

송림사 대웅전_보물 제1605호

 

유독 큰 대웅전 현판은 숙종의 어필이라 하며, 맞배지붕 다포식으로 정면 5칸 측면 3칸 면적139.44m2으로 대웅전 크기가 아주 큰편에 속한다. 또한 조선 효종 8년 향나무로 조성된 목불은 전국에서 크기가 최상의 크기로 정식 명칭은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으로 2009년 3월 5일 보물 제1605호로 지정 되었다.

송림사는 1597년 정유재란 때 왜군의 방화로 소실되었다가 1686년(조선 숙종)에 기성대사에 의해 대웅전과 명부전이 중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5층 전탑과 대웅전

 

 

 

 

 

송림사 5층 전탑_보물 제189호

 

이 전탑의 건립과 중수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1959년 해체복원 시 탑내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를 통하여 여러 차례 수리복원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1층 탑신 내부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목불과 파손된 석불, 동불 등은 본래 감실을 막아 봉안된 것이다. 또한 2층 옥계석에서 거북모양 석함 속에 사리장엄구가 발견 되었다. 특히 이 석함에서 발견된 사리기는 감은사 석탑에서 발견된 보장형 사리기와 유사하며 사리병을 비롯한 유리잔은 최고의 사리구로 평가된다. 한편 상륜의 복발에는 청자상감합이 봉안 되었고, 그 내부에는 향나무가 들어 있었다. 따라서 이 전탑은 통일신라 초기에 건립된 후 고려, 조선시대를 거치는 동안 여러차례 수리가 있었으며, 그때마다 추가로 사리기가 봉안되면서 탑의 변형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제강정기 시대의 송림사 전탑

 

 

 

 

 

 

 

 

 

 

 

석등과 요사채 선열당

 

 

 

 

 

대웅전_보물 제1605호

 

 

 

 

 

명부전_유형문화재 360호

 

 

 

 

 

 

 

 

 

 

 

석등과 설법전

 

 

 

 

 

 

 

 

 

 

 

 

 

 

 

 

 

산신각과 응진전(나한전)

 

 

 

 

 

대웅전과 고목(벗꽃나무)

 

 

 

 

 

송림사 연혁과 함께 한 벗꽃나무

 

 

 

 

 

 

 

 

 

 

 

5층 전탑과 명부전

 

 

 

 

 

삼성각

 

삼성각 뒤로 부도탑이 위치하고 있다.

 

 

 

 

 

대웅전과 5층 전탑, 가운데 명부전

 

 

 

 

 

설법전과 종각

 

 

 

 

 

 

 

 

 

 

 

5층 전탑 전경

 

 

 

 

 

5층 전탑과 대웅전, 명부전

 

 

 

 

 

일주문

 

송림사 일주문은 '팔공산 송림사'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삼천분전_보물 제 1606호

 

 

 

 

 

 

 

이렇게 유서깊은 송림사를 간단히 둘러 보고...

 

오랜만의 외식, 물론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하였습니다.

 

 

 

 

 

 

 

 

▶ 대구 이월드 83타워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