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³ 산행후기 ³°″/국 내 전 체

울산 대왕암 한바퀴_출렁다리 용굴 할미바위 '24.6.9(일)

2024.6.9 (일)

 

주말동안 내 바람을 동반한 비가 내리고, 일요일 정오가

지나면서 내리던 비가 소강상태를 보이는 일요일...

장생포 수국을 보러 나섯는데, 장생포 가는 도로가 꽉 막히니 무슨일 !

이유인 즉 장생포 수국페스티벌 축제가 열리는 탓 이었습니다.

 

차를 돌려 방어진 울기등대 대왕암으로 행선지를 바꾸었네요.

 

 

 

 

대왕암 출렁다리

대왕암 출렁다리는 2020년8월에 착공, 2021년6월에 준공되었습니다. 길이 303m 높이 42.55m 내진설계 1등급으로 최대풍속 64m/s 바람에도 안전하지만, 풍속 14m/s 순간최대풍속 20m/s 이면 출렁다리는 안전을 위하여 통행을 불가한다고 합니다. 최대 1,285명(성인 70kg 기준) 설계되었다고 하며, 이 대왕암 출렁다리는 현재까지 무료 시범운영 중이며 09:00~18:00까지 운영 됩니다.

 

 

 

 

 

대왕암 용굴 (일명: 덩덕구리)

 

용굴은 천연동굴로 옛날 청룡 한마리가 여기서 살면서, 이곳을 오가는

 

뱃길을 어지럽히자, 동해 용왕이 굴속에서 다시는 나오지 못하도록

 

신통력을 부려 큰 바위로 막아 버려 청용을 가두었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네요.

 

 

 

 

 

대왕암 할미바위와 넙대기

 

 

 

 

 

 

 

대왕암 할미바위

 

 

 

 

 

 

 

대왕암 탕건바위

 

 

 

 

 

 

 

대왕암 탕건바위 해벽

 

 

 

 

 

 

 

울기등대

울기등대는 1906년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등대를 설치하면서 “울산의 끝" 이라는 뜻을 그대로 옮겨 울기(蔚埼)라고 불렀으며, 등대 주변의 해송들이 자라나서 등대불이 보이지 않게 되자 1987년 12월 기존 위치에서 50m가량 이동하여 촛대모양의 아름다운 등대를 새로건립하고, 기존의 등대는 등대문화유산 제9호 및 등록문화재 제106호로 보존하고 있다.

그 후, 울기(蔚埼)라는 명칭이 일제 잔재라는 의견이 대두되어, 2006년 등대건립 100주년을 맞아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울기(蔚氣)로 변경되었다.

 

 

 

 

 

 

울산 방어진 대왕암

대왕암공원에는 신라시대 삼국통일을 이룩했던 문무대왕의 왕비가 죽은 후 문무대왕을 따라 호국룡이 되어 울산 동해의 대암 밑으로 잠겼다는 신비한 전설이 내려오고 있습니다.

또한 하늘을 찌를 듯 솟아있는 1만 5천그루의 해송, 바닷가를 따라 조화를 이루는 기암괴석, 파도가 바윗구멍을 스치면 신비한 거문고소리를 내는 슬도,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울기등대는 대왕암 공원만이 가진 자랑거리입니다.

 

 

 

 


 

 

 

 

☞ 울산 대왕암공원 오시는 길: 울산 동구 등대로 140 (일산동, 905) 052-209-3751

 

 

 

 


 

▣ 대상지: 울산 대왕암공원

 

▣ 위   치: 울산 동구 일산동 905번지 (주차장: 울산 동구 일산동 911-1) 

▣ 일   : 2024 6 9(일)

▣ 날   : 비온 개임 흐림

▣ 일   조릿대 & 

▣ 이   자가운전【Total: 28km】 출발 6/9(일): 13:00~ 도착 6/9(): 16:40

▣ 경   : 주자비 2,400원/ 아이스크림 2,800원

 

 

 

▣ Photo 후기

대왕암공원 입구 상가

 

이국적인 풍경인 공원입구 상가 풍경 입니다.

 

 

 

 

 

 

공원 입구 낙화암과  한시 비

 

이런것이 이곳에 있었는지 몰랐네요.

비에 빼곡한 한자가 음각되어 있네요.

 

 

 

 

 

 

낙화암 비문

 

이 낙화암은 원래 미포만 백사장 서편 해송림이 우거진 곳에서 있던것을 이곳에 옮겨 놓았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진을 클릭하면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한시 비

 

음각된 내용은 아래 사진을 클릭하시어 크게보면 전물을 볼 수 있습니다.

 

 

 

 

 

 

 

 

 

 

 

 

 

공원입구 청룡이 아닌 금용

 

 

 

 

 

 

울기등대 솔밭

 

솔밭 모두가 맥문동 밭이라 꽃필 때 아주 보기 좋은 곳 입니다.

 

 

 

 

 

 

 

 

 

 

 

 

 

 

 

 

 

 

 

 

 

 

 

 

 

 

 

 

 

 

 

 

 

 

 

 

 

 

 

 

 

포토 전망대 덱

 

 

 

 

 

 

 

 

 

 

 

 

 

현대중공업 발향

 

저 앞에 바위섬이 보이고, 바로 '민섬'이라고 합니다.

 

 

 

 

 

 

당겨 본 민섬

 

민섬에는 아래 안내와 같이 용궁의 근위 대장과 사랑에 빠진 선녀 '민'이 옥황상제의 벌을 받아 바위섬이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 진다고 합니다. 달이 뜨는 밤 어풍대에서 바라보는 민섬과 용굴은 한폭의 동양화처럼 아름답다고 합니다.

 

 

 

 

 

 

 

 

 

 

 

 

 

일산해수욕장

 

 

 

 

 

 

▶ 영상_물놀이

 

 

 

 

 

 

 

 

 

 

 

 

 

 

 

 

 

 

 

 

 

 

 

 

 

 

 

 

 

 

 

 

 

 

 

출렁다리 입구

 

일산해수욕장 쪽에서, 일방통행으로 운영중에 있습니다.

 

 

 

 

 

 

 

 

 

 

 

 

 

대왕암 출렁다리

 

 

 

 

 

 

 

 

 

 

 

 

 

 

 

 

 

 

 

 

 

 

 

 

 

 

 

 

 

 

 

 

 

 

대왕암 출렁다리

 

가운데를 지나려면 제법 많이 흔들리고, 아래는 이렇게 그래이팅으로 바다가 보입니다.

 

 

 

 

 

 

▶ 영상_대왕암 출렁다리 건너기

 

 

 

 

 

 

 

출렁다리에서 당겨 본 민섬

 

 

 

 

 

 

일산해수욕장

 

 

 

 

 

 

 

 

 

 

 

 

 

 

 

 

 

 

 

 

 

 

 

 

 

 

 

 

 

 

 

 

 

 

 

 

 

 

 

 

 

출렁다리를 건너와서...

 

이쪽에서는 건널 수 없는 일방통행 입니다.

 

 

 

 

 

 

 

 

 

 

 

 

 

수루방 정상

 

댕왕암공원 북쪽의 가장 높은 벼랑바위를 수루방이라고 합니다

수루방은 '수리바위'의 음전이라고 합니다.

옛날 이곳에 망루를 설치해 놓고 숭어잡이할 때 망을 보던 자리라고 합니다.

 

 

 

 

 

 

 

 

 

 

 

 

 

 

 

 

 

 

 

 

 

 

 

 

 

 

 

 

 

 

 

 

 

 

수루방에서 당겨 본 민섬

 

 

 

 

 

 

용굴로 내려서고...

 

 

 

 

 

 

 

 

 

 

 

 

 

대왕암 용굴 (일명: 덩덕구리)

 

 

 

 

 

 

 

 

 

 

 

 

 

 

 

 

 

 

 

 

 

 

 

 

 

 

▶ 영상_대왕암 용굴

 

 

 

 

 

 

 

 

 

 

 

 

 

 

 

 

 

 

 

 

 

용굴 입구

 

 

 

 

 

 

할미바위

 

망망대해를 바라보며 누군가를 기다리는 형상으로

넙대기 가운데 우뚝 솟은 바위를 말한다고 합니다.

 

 

 

 

 

 

 

 

 

 

 

 

 

 

 

 

 

 

 

 

 

 

 

 

 

 

 

당겨 본 민섬

 

 

 

 

 

 

 

 

 

 

 

 

▶ 영상_대왕암 할미바우

 

 

 

 

 

 

 

 

 

 

 

 

 

 

 

 

 

 

 

 

 

 

 

 

 

 

 

 

 

 

 

 

 

 

 

 

 

 

 

 

 

 

 

 

 

 

 

 

 

 

 

 

 

 

 

 

 

 

 

 

 

 

 

할미바위

 

 

 

 

 

 

 

 

 

 

 

 

 

 

 

 

 

 

 

 

 

 

 

 

 

 

 

이쪽에서 보면

 

할비바위와 남근석이아고 하는데...영~!

 

 

 

 

 

 

 

 

 

 

 

 

 

탕건바위와 카누 2인

 

 

 

 

 

 

 

 

 

 

 

 

 

 

 

 

 

 

 

 

 

 

 

 

 

 

 

탕건바위

 

넙대기 앞 바다에 있는 바위돌로 마치 갓 속에 쓰는 탕건같이 생긴바위라 하여 붙어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부부송 조망처

 

솔 뿔리가 바위 아래, 옆으로 길게 뻗은 경이로운 솔 입니다.

 

 

 

 

 

 

 

 

 

 

 

 

 

 

 

 

 

 

 

 

 

 

 

 

 

 

 

 

 

 

 

 

 

 

텅건암과 넙대기 해벽

 

 

 

 

 

 

 

 

 

 

 

 

 

 

 

 

 

 

 

 

 

 

 

 

 

 

 

 

 

 

 

 

 

 

부부송 조망대

 

 

 

 

 

 

 

 

 

 

 

 

 

바위 숲

 

 

 

 

 

 

 

 

 

 

 

 

 

 

 

 

 

 

 

 

멋진 해벽

 

 

 

 

 

 

 

 

 

 

 

 

 

위 사진 바위에 나서보고...

 

 

 

 

 

 

 

 

 

 

 

 

 

 

 

 

 

 

 

 

넘대기와 탕건암

 

 

 

 

 

 

 

 

 

 

 

 

 

 

 

 

 

 

 

▶ 영상_체조

 

 

 

 

 

 

▶ 영상_연주

 

 

 

 

 

 

 

울기등대

 

 

 

 

 

 

울기등대는 1906년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등대를 설치하면서 “울산의 끝" 이라는 뜻을 그대로 옮겨 울기(蔚埼)라고 불렀으며, 등대 주변의 해송들이 자라나서 등대불이 보이지 않게 되자 1987년 12월 기존 위치에서 50m가량 이동하여 촛대모양의 아름다운 등대를 새로건립하고, 기존의 등대는 등대문화유산 제9호 및 등록문화재 제106호로 보존하고 있다.

그 후, 울기(蔚埼)라는 명칭이 일제 잔재라는 의견이 대두되어, 2006년 등대건립 100주년을 맞아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울기(蔚氣)로 변경되었다.

 

 

 

 

 

 

 

 

 

 

 

 

 

 

 

 

 

 

 

 

옛 울기등대

 

 

 

 

 

 

 

 

 

 

 

 

 

현재 등대

 

 

 

 

 

 

 

 

 

 

 

 

 

 

 

 

 

 

 

 

 

 

 

 

 

 

 

 

 

 

 

 

 

 

비만첵크...날씬

 

 

 

 

 

 

표준이지만...

 

좋합검진 결과 비만이라고 하네요.

 

 

 

 

 

 

 

 

 

 

 

 

 

해녀 해산물 난전

 

옛날에 한번 가서 박아지 쓰고, 다시는 안가고 있습니다.

지금은 박아지 씌우지 않고 잘 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해녀 해산물 난전과 시근방 풍경

 

 

 

 

 

 

대왕암 풍경

 

대왕암은 신라시대 삼국통일을 이룩했던 문무대왕의 왕비가 죽은 후 문무대왕을 따라 호국룡이 되어 울산 동해의 대암 밑으로 잠겼다는 신비한 전설이 내려오고 있습니다.

 

 

 

 

 

 

 

 

 

 

 

 

 

 

 

 

 

 

 

 

 

 

 

 

 

 

 

 

 

 

 

 

 

 

 

 

 

 

 

 

 

 

 

 

 

 

 

 

 

 

 

 

 

 

대왕암 전경

 

 

 

 

 

 

 

 

 

 

 

 

 

몽돌해변

 

 

 

 

 

 

돌지 않는 바람개비

 

바람이 불지 않으니 바람개비도 휴식을 취하네요.

 

 

 

 

 

 

멀리 큰배들이...

 

원유배들 많이 정박해 있네요.

 

 

 

 

 

 

 

 

 

 

 

 

 

용디이목

 

 

 

 

 

 

 

 

 

 

 

 

 

엄청 큰 해송

 

 

 

 

 

 

용디이 전망대

 

 

 

 

 

 

▶ 영상_물멍

 

 

 

 

 

 

 

용디이 전망대에서 본 용디이목

 

 

 

 

 

 

 

멀리 고동섬

 

 

 

 

 

 

당겨 본 고동섬

 

 

 

 

 

 

 

 

 

 

 

 

 

좀 빈약한 수국길

 

 

 

 

 

 

 

 

 

 

 

 

 

 

 

 

 

 

 

 

 

 

 

 

 

 

 

 

 

 

 

 

 

 

 

 

 

 

 

 

 

 

 

 

 

 

 

 

 

 

 

 

 

 

 

 

아이스케끼

 

비온 뒤 기온이 높으터라 엄청 무덥네요.

이렇게 몸풀기 나들이를 하고 고우 홈~!

 

 

 

 

 

 

 

 

울산대교는 장생포와 방어진을 잇는 대교라고 하지만

통과하는데 요금이 1800원, 좀 많이 쎈듯 하네요.

 

빽~홈하여 짱표 콩국수로 시원한 저녁시간, 감사히 잘먹어요 ㅎ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