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³ 산행후기 ³°″/다녀온山寺

(264)
영축산 통도사_산내 4암자 나들이 '20.7.5 2020. 7. 5 (일) 주말 장마비 예보, 일요일 오후 통도사 산내 암자 나들이 백련정사, 서운암, 안양암, 극락암에 들러 마음을 씻어 보았네요. ▶ 파노라마 [크게보기 클릭] 해질녘, 영축산릉에 걸려 있는 구름 사이로 빛내림이 쏟아지고 예보상 온다던 장마비는 소강상태, 역시 구라청 단 하루를 못맞추니 원~! 통도사_백련정사(백련암) 백련정사는 수행인의 수도처로 알려져 있으며 통도사 산내 19안자 중의 한곳으로 고려 공민왕 23년 월화대사가 창건하고 조선 인조 12년 현암대사가 중건하였다. 현재 건물을 1995년 을해년부터 중창 불사를 시작하여 큰법당 광명전 누각 요사채 등이 있다. 통도사_서운암 (장독) 서운암은 고려 후기인 1326년(중목왕 2년) 충현대사가 창건하였다. 이후 별다른 기록은 없고 ..
통도사 사물(四物)_저녁 예불 마음 달래기 '20.4.25 2020. 4. 25 (일) 코라나-19라는 정체 없는 바이러스가 온 세계를 공표로 몰아 넣고 있는 현실 무섭게 전파되던 감염사태는 강력한 생활속 거리두기 실천으로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3달째 접어 들며 지처가는 현실, 답답함과 무력감 또한 큰 적이 아닐 수 없습니다. 다소 완화된 지침으로 숨통을 틔울 수 있어 다행이지만, 아직은 아무도 모를 일인 듯 합니다. 가슴 답답함을 풀어 줄 하나의 방법, 통도사 저녁예불 사물(四物)이 보고 싶어 나서 보았습니다. 불교의 4물(四物)인 법고(法鼓),범종(梵鐘), 목어(木魚), 운판(雲版) 4가지를 번갈아 33번 타종한다. 33번은 불교의 세계, 곧 33천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통도사 동쪽_대웅전 통도사 대웅전 사방에는 동쪽_대웅전, 남쪽_금강계..
통도사 사물(四物)_저녁 예불에 마음을 맡기다 '19.7.21 일요일 늦으막히 도착 한 통도사, 저녁예불에 몸과 마음을 맡겨 보았다. 법고, 목어, 운판, 범종 웅장한 소리와 뒤 여운...꽉 차 있는 번뇌를 토하게 한다. 온몸으로 당기는 혼신의 당대 힘, 당대에 타종되는 범종이 부서질 듯...! 영축, 신불 산정에서 수 없이 들었던 범종 소리...그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연일 치열히 진행하는 일상, 잠시나마 욕심 내려 놓고 내 자신을 볼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통도사 대웅전 사방에는 동쪽_대웅전, 남쪽_금강계단, 서쪽_대방광전, 북쪽_적별보궁 현판이 걸려 있다. 금강계단의 글씨는 흥선대원군이 쓴 것이이라 하며, 대웅전은 석가모니 세존을 모신 곳이라는 뜻이다. 대방광전은 진리의 몸인 법신불이 상주하는 대화엄의 근본 도량이라는 뜻이며, 부처님의 진신 사리를..
('19.3.9) 범어삼기(梵魚三奇)『범어사, 계명암, 원효암, 미륵불』 범어 1기_금샘 범어 3기란 범어 제1기는 암상금정(巖上金井)는 고당봉 아래 금샘을 말하며 범어 제2기는 원효석대(元曉石臺)는 원효암 뒤편에 있는 자연석 수직으로 50여 척이나 솟아있는 이 석대를 말한다 범어 제3기는 자웅석계(雌雄石鷄)는 계명암 한쌍의 닭을 말한다; 범어 3기_계명암 ..
('18.9.30) 군위 팔공산 석굴암『아미타여래삼존 석굴』 팔공산 제2석굴암_아미타여래 삼존석불(석굴) 군위 "원효구도의 길" 따라 올라 "청운대" "하능정원"을 지나 "비로봉", 팔공산 힐링 산행 후 근처에 있는 석굴암을 찾았다. 경북 군위 부계면 남산리 팔공산 연봉 북쪽에 위치한 석굴암, 제2석굴암으로 알려지며 근래 많은 불자들과 관광객이 ..
('18.6.13) 김해 신어산 『은하사 영구암 동림사』 《신어산 "은하사"》 은하사는 조선 중기 이전까지 있던 건물은 동림사와 함께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 지금의 건물은 조선 후기의 양식이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8호로 지정된 은하사의 대웅전 수미단에는 허황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도 추정되는 쌍어 문양이 있다. 쌍어 문양은 ..
('18.6.9) 팔공산 갓바위 음의 기운『불굴사』
('18.5.26) 영주 소백산 국망봉『초암사』 초암사(草庵寺)는 한반도 백두대간릉이 남하하며 경북과 충북의 경계인 소백산 국망봉 남쪽의 죽계구곡에 위치하여 있다. 신라의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했다고 하는데, 두 가지 설이 전해 지는데, 첫번째 설은 676년(문무왕 16)에 의상이 부석사를 창건하기 위해 절터를 보러 다닐 때 ..
('18.3.18) 구례 오산『천상의 사성암』 2018년3월18일 구례 오산『사성암』 구례 오산 사성암은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華嚴寺)의 말사이다. 544년(성왕 22) 조사 연기(緣起)가 창건하여 오산사(鼇山寺)라고 했다. 그 뒤 신라의 원효(元曉)와 연기도선(烟起 道詵), 고려의 진각(眞覺) 국사혜심(慧諶)이 이 절에서 수..
('18.2.24) 대구 팔공산『지장사에서 관봉 장군암』 2018년2월24일 팔공산 인봉『북지장사』 팔공산 관봉 갓바위 명마산 장군바위 북지상사는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1192년(명종 22)에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1040년(정종 6)에 최제안(崔齊顔)이 쓴 경주 천룡사(天龍寺)의 중창과 관련된 신서(信書)를 보면 북지장..
('17.12.30) 합천 가야산『팔만대장경 해인사』 팔만대장경판전 2017년12월30일 가야산 『해인사』 해인사는 경상 남도 합천군 가야산 남서쪽에 있는 절로, 송광사 · 통도사와 함께 우리 나라 3대 사찰 가운데 하나이다. 신라 애장왕 3년(802년)에 순응, 이정 두 스님이 세웠다. 918년에 고려가 건국하자 태조는 이 절을 고려의 국찰로 삼아 ..
('17.12.30) 합천 남산제일봉『청량사』 2017년12월30일 남산제일봉 『청량사』 홍류동 남쪽의 남산 제일봉(1,010m)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사찰. 청량사의 건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9세기경으로 추정), 삼국사기에 최치원이 즐겨 찾았다는 기록이 있어 신라시대 때 세워진 절로 가늠되고 있다. 절 뒤의 남산제일봉은 산세의 기복이 ..
('17.12.24) 울산 북구 마애사『어물동 마애여래좌상』 어물동 마애불좌상의 중앙 본존불은 높이5m, 너비 3.5m이고 좌우협시 보살상은 높이 3.5m, 너비 1m 크기로 ‘방바위’라 불리는 거대한 자연 암벽 면에 돋을새김[高浮彫]되어있다. 도상적으로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좌우 협시로 둔 약사여래삼존상으로, 제작 시기는 통일신라시대로 추정된..
('17.9.23) 구미 금오산『약사암』 금오산 약사암 범종각 가는 길 약사암은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 금오산 정상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금오산은 경북 구미시와 김천시, 칠곡군에 걸쳐있는 산으로 특이한 산세를 자랑하고 있다. 정상 일대는 분지를 이루고 있고 그 아래쪽은 칼날같은 절벽이 병풍을 이루고 있으며 산세가 매우 가파른 곳이다. 정상은 월현봉과 약사봉, 보봉으로 이루어져 있고, 정상 부근은 하늘로 비상하려는 새의 모습과 비슷하며 누워있는 사람의 얼굴 모습 같기도 하다. 금오산은 지난 1970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관광시설이 골고루 갖추어진 명승지이다. 정상 부근에는 금오산성이 있고 단풍의 명소로 일명 금강이라 불리우며 예부터 경북 8경의 하나로 꼽혀왔다. 이 산 정상의 금조산성 암벽 밑 약사봉 아래..
('17.9.3) 영천 팔공산『돌구멍 절 중암암』 중암암은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銀海寺)의 산내암자(山內庵子)이다. 834년(흥덕왕 9)에 심지왕사(心地王師)가 창건하였다. 그 뒤 꾸준히 수도승들의 수행처로 이용되어 오다가, 1834년(순조 34)우일(宇一)과 유엽(有曄)이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법당과 요사채·객사(客舍)가 있으며, 문화재로는 3층 석탑과 석등(石燈)이 있다. 이 중 3층 석탑은 창건 당시에 건립된 것이라고 하는데 높이 3.7m이다. 석등은 높이 1.2m의 장방형으로 장식이나 기교를 가하지 않은 특이한 석등이다. 이 밖에도 도괴된 부도 1기가 있다. 절 주변에는 삼인암(三印巖)·건들바위·장군수(將軍水) 등이 있다. 이 중 건들 바위에는 전설이 깃들여 있다. 옛날 한 승려가 참선을 하고 있는데 ..
('17.5.4) 울주 정족산『천연요새 운흥사지 & 부도』 운흥사 부도는 신라시대에 창건하여 폐사연도가 분명하지 않은 운흥사 고승들의 사리를 안치한 것으로 누구의 것인지는 알수 없으나 모두 7기가 있었다고 한다. 그 중 2기는 시지정 유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어 인근 시적사에 보존 관리되고 있으며, 마을 입구에 1기, 운흥계곡 하천변에 1기, 옛 절터에 2게 및 운흥사와 관련된 수조 등 각종 부재와 함께 오랜 세월동안 흩어져 있는 것을 한 곳으로 모아 정비하였으며 나머지 1기는 어디에 있는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부도는 화강암으로 만든 것으로 높이 180∼200㎝ 정도의 크기이며, 이 가운데 1기는 무너져 있고 2기는 완전한 편이다. 이들 부도는 8각형의 대석 위에 당초무늬 하대(下臺)가 놓이고 그 위에 연판(蓮瓣)이 긴 연꽃이 조각된 상대(上臺)가 올려져 있다..
('17.4.9) 경남 밀양 만어산『만어사』 ♧ 만어산 만어사 ♧ ▣ 주 소: 경남 밀양시 삼량진 용전리 4 만어사는 경남 밀양시 삼량진읍 용전리 산4번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설에 의하면, 46년(수로왕 5년)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신라시대에는 왕이 불공을 드리는 곳으로 이용되었다고 하며, 1180년(명종 10년)에 중창되어, 1879년에 중건되었다. 대웅전, 미륵전, 삼성각, 요사채, 객사가 있으며 보물 제466호 삼층석탑이 있다. 미륵전에는 고기들이 변하여 돌이 되었다는 만어석(萬魚石)이 수없이 이어지고 있는데 이 만어석은 두드리면 맑은 소리가 나서 종석(鐘石)이라고도 한다. ↑ 만어산 만어석 너덜지대 만어석은 만어사 주변 골짜기를 가득 채우고 있는 너덜지대로 독특한 모양의 검은 돌들은 용왕의 아들을 따라온 수많은 고기떼가 돌로 변한 것이라 하..
('17.3.5) 경남 밀양 종남산『미덕사』 ♧ 종남산 미덕사 ♧ ▣ 주 소: 경남 밀양시 상남면 남산리 453 미덕사는 경남 밀양 상남면 남산리 종남산 정상아래 위치한 사찰로 절 주변으로 정성 가득한 돌탑이 수없이 이어지는 양지 바른 곳에 앉아 있는 소박한 절이다. 산에 있는 바위를 그대로 살려 조성한 사찰은 소박하지만 자연..
('17.3.5) 합천 대병『허굴산 청강사 금성산 대원사』 ♧ 허굴산 청강사 ♧ 청강사(晴岡寺)는 고(故) 청강거사(晴岡居士) 정규락(鄭逵洛)이 짓기 시작하고, 그의 대를 이은 아들 방해(邦海)가 완성하였다고 한다. 현재, 혜광스님이 주지로 있다. 주소 : 경남 합천군 대병면 장단리 산 67 도로명 주소 : 경남 합천군 대병면 장단 3길 42-37 ♧ 금성산(..
('17.1.7)울산 울주 간월산『통도사 규모의 간월사지』 ↑ 간월사지 北탑 간월사지는 통도사 규모에 버금가는 절터로 울산 울주군 상북면 등억리 512-1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배내오재는 덕현재, 긴등재(천화현), 신불재, 왕방재, 금강골재를 말한다. 간월사지는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5호. 간월사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권 23,..
('16.11.15)강원 고성 북설악『금강산 화암사』 북설악 금강산 화암사는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신평리에 성인대(선인대봉) 아래 위치하여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神興寺)의 말사이다. 769년(혜공왕 5)진표(眞表)가 창건하여 이름을 금강산 화엄사(華嚴寺)라고 하였다. 사적기에 의하면, 당시 금강산으로 들어온 진..
('16.11.5)경남 함양 황석산『장수사지 용추사』 황석산 용추사는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에 위치하여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雙磎寺)의 말사이다. 신라시대에 각연(覺然)이 창건하였고, 고려 말 무학(無學)이 중수한 뒤 은거하여 수행하였다. 그 뒤 1681년(숙종 7)에 운흡(雲洽)과 전 주지 수오(秀悟) 등이 합..
('16.9.11)경남 밀양『백일홍 만개한 표충사 & 진불암』 ↑ 백일홍 만개한 표충사 표충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사기(寺記)에 의하면 654년(무열왕 1) 원효대사가 창건하고 죽림사(竹林寺)라 했으며, 829년(흥덕왕 4) 인도의 고승인 황면(黃面)선사가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할 곳을 동방에서 찾다가 황록산 남..
('16.8.28 일) 충남 공주 계룡산『갑사』 ↑ 갑사 대웅전 통일신라시대에는 오악(五嶽) 中 서악(西嶽), 고려시대엔 묘향산(妙香山) 상악(上嶽), 지리산 하악(下嶽)과 더불어 3악중(三嶽中) 중악(中嶽)으로 일컬어지는 명산 계룡산(鷄龍山)의 서편 기슭인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에 위치한 갑사는 석가모니 부처님이 입적하..
('16.4.23 토) 경북 청도 비슬산『용천사』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 670년(신라 문무왕 10)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의상은 화엄십찰(華嚴十札) 중 하나로 이 절을 창건하고 옥천사(玉泉寺)라고 불렀다. 창건 이후 백련암과 극락암 등 모두 47개의 암자를 거느렸고, 3천 명의 승려가 수도하는 대찰로 성장..
('16.4.23 토) 경북 청도 비슬산『대견사지 (대견사)』 1995년 5월 12일 대구유형문화재 제42호로 지정되었다. 비슬산 주봉에서 남쪽으로 약 2km 떨어진 해발 1000m 위치에 있는 탑으로, 9세기 신라 헌덕왕 때 중국 당의 황제가 이곳에 절과 3층석탑을 짓고 대국에서 본 절이라 하여 대견사라 이름 지었다고 전한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지금은 빈..
('16.4.15 금) 경남 창녕 관룡산『관룡사와 용선대』 ↑ 관룡사 대웅전 원효대사의 화엄경 설법이 울려퍼진 곳 철쭉과 억새로 유명한 화왕산군립공원 내 관룡산 병풍바위 아래에 위치한 관룡사는 신라 8대 사찰의 하나로 내물왕 39년(394년)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원효대사가 중국 승려 1,000여 명을 모아놓고 화엄경을 설법한 곳으로 유명..
('16.4.13 수) 경주 토암산『장항리 사지』 ↑ 오늘의 수확, 장항리 사지 오층석탑과 불대좌 평범해 보이지만, 범상치 않은 명당터, 절 이름 자료가 없다는 것이 의아할 뿐이다. 필자는 풍수지리도 모르고, 터에 대한 기도 전혀 아는 바 없다. 하지만, 보잘것 없어 보였던 이곳에 올라보니 범상치 않은 기운에 온몸에 전율이 흘렀다. ..